Architecture2019. 10. 26. 00:15

요즘 한.일관계가 안좋다지만, 한국인과 일본인은 이런면에선 거의 차이가 없다. 우리가 일본에게서 배운건가? 이 지긋지긋한 학벌, 계보주의. 오히려 일본건축계에서 안도 타다오를 미워할수록 후세에 안도 타다오는 더욱 빛날것이다. 아직 일본 건축계에서 따로 떨어져있는 안도 타다오, 누가 그의 방법을 이어서 아시아에서 진일보 시킬까?

미국의 건축비평가 Martin Filler가 밝히는 프리츠커 수상 스토리의 비화

1993년 당시 프리츠커 심사위원이었던 프랭크게리와 리카르도 레고레타가 안도 타다오의 작품에 관심을 갖고 실제로 보고싶다고 하자, 일본건축계에서 압력을 넣었다는것. 단게 겐조 다음에 수상할 사람은 안도 타다오가 아니라 마키 후미히코라고(그렇지 않으면 외교적 결례라나?). 결국 93년은 마키 후미히코, 3년뒤 95년 수상한 안도 타다오.

마키 후미히코는 반드시 댓가를 치를꺼다. 바로 위 단게 겐조도 만만치 않게 제국주의자 였구만. 게리 입장에선 황당했을듯. 생각해보니 그래서 게리가 일본에 주요 프로젝트가 없는 이유이기도 한듯. 게리 다음에 타겟삼은게 자하 하디드. 미움 받는것도 역사적 계보가 있다?!

이 지점에서 슬퍼지는건 옆나라 오세훈 시장이 주도한 DDP현상설계 스토리.......자하 하디드의 대표작은 서울에(한국 건축계의 온갖 방해와 비난에도 불구하고)

'According to Gehry's account at the time, he and the Mexican architect Ricardo Legorreta (a Pritzker juror from 1985 to 1993) had asked their local hosts to arrange for them to see the buildings of Tadao Ando, based in nearby Osaka and beginning to be touted as his country's most promising younger architect for works such as his powerful Cavern of the Light of 1987-89 in Ibaraki. The Japanese demurred, explaining that by right of seniority, the next Japanese recipient after Tange would have to be Fumihiko Maki (a well-connected modernist who was a Pritzker juror from 1985 to 1988), and only after Maki could the junior Ando even be considered. To do otherwise, they implied, would be a fatal diplomatic gaffe. And this is precisely what happened when Maki was chosen in 1993, and Ando followed him in 1995, both during Gehry's two-year tenure as a juror.'

 

Eyes On The Prize

For two decades now, the Pritzker Prize has mirrored the best and the worst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For many observers of the arts, indeed, the very idea of such a prize is deeply problematic. Applying competitive standards to creative efforts is at

newrepublic.com

 

반응형
Posted by CSS+Folder